CKtrace's Devlog
[Python] - 리스트 자료형 본문
리스트(List) - Feature
리스트(List)는 여러 개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자료형입니다.
리스트는 아래의 표와 같은 특징을 갖는데 자료형마다 달라 비교하며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!
리스트(List) | |||
순서 | O | ||
중복 | O | ||
수정 | O | ||
삭제 | O |
리스트(List) - Declaration
지금부터 리스트를 여러 가지 선언 예시들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# 빈 리스트 선언
list_a = []
list_b = list()
# 정수가 저장된 리스트 선언
list_c = [1, 2, 3, 4, 5]
# 리스트 안에 문자열
list_d = [1, 2, 3, 'car', 'bus']
# 리스트 안에 리스트
list_e = [1, 2, 3, ['car', 'bus']]
# 리스트 안에 부울형 자료, 실수
list_f = [1, 2, True, 3.141592]
리스트(List) - Indexing & Slicing
x = [1, 2, 3, 4, 5, True, ['Big Mac', 'Shanghai Burger']]
우선 x라는 리스트를 위 코드 블록처럼 선언을 하고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
리스트에 저장된 요소들에는 번호가 다 부여되어 있습니다. 이때 이 번호를 인덱스(Index)라고 합니다.
Element | 1 | 2 | 3 | 4 | 5 | True | ['Big Mac', 'Shanghai Burger'] |
Index | 0 | 1 | 2 | 3 | 4 | 5 | 6 |
리스트에서 인덱싱(Indexing)은 원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요소만 추출하는 것입니다.
블록 코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눈 여겨볼만한 것은 리스트 안의 리스트를 이중 인덱싱(?)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# Basic Indexing
print(x[0]) # 1
# Indexing 한 값끼리 더하기
print(x[0] + x[1] + x[2]) # 6
# 리스트 안의 리스트 Indexing
print(x[6][1]) # Big Mac
슬라이싱(Slicing)이란 설정한 인덱스 범위들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뽑아내는 것입니다.
슬라이싱 또한 블록 코드를 통해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눈 여겨볼만한 것은 인덱싱처럼 리스트 안의 리스트를 이중 슬라이싱(?)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
# Slicing
print(x[0:3]) # [1 2 3]
print(x[1:]) # [2 3 True ['Big Mac', 'Shanghai Burger']]
print(x[-1][-1:]) # ['Shanghai Burger']
리스트(List) - Correction & Deletion
수정은 인덱스를 활용하여 이루어집니다. 이 부분도 코드 블록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.
# Correction
x[0] = 7 # [7, 2, 3, True, ['Bic Mac', 'Shanghai Burger']]
x[2:3] = ['a', 'b', 'c'] # [7, 2, 'a', 'b', 'c', True, ['Bic Mac', 'Shanghai Burger']]
x[2:3] = [['a', 'b', 'c']] # [7, 2, ['a', 'b', 'c'], True, ['Bic Mac', 'Shanghai Burger']]
리스트의 요소를 삭제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합니다.
pop, del, remove가 있는데, 각각 원하시는 용도에 맞게 잘 골라 사용하시면 됩니다.
용도에 맞게 골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각 어떻게 삭제가 다르게 이루어지는지 알아야 가능하기 때문에 세 가지 삭제 방법들을 코드 블록을 통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
# Deletion
# 1. pop
x.pop() # 소괄호가 공백이면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가 삭제됩니다.
x.pop(0) # 소괄호에 있는 숫자에 위치해 있는 요소가 삭제됩니다.
# 2. del
del x # 리스트 x가 아예 삭제됩니다.
del x[0] # [] 안의 숫자에 위치해 있는 요소가 삭제됩니다.
# 3. remove
x.remove(1) # 삭제하고 싶은 요소 그 자체를 입력하면 그 요소가 리스트에서 삭제됩니다.
이렇게 해서 리스트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았고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드리며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!
+α)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, 집합 이 네 개의 자료형을 서로 비교하시면서 알아가시는 것이 중요합니다!
튜플 자료형
튜플(Tuple) - Feature 튜플(Tuple)은 여러 개의 자료를 하나로 묶는 데 사용하는 자료형으로 리스트(List)와 유사한 자료형입니다. 하지만 튜플은 리스트와 유사하지만 아래의 표와 같이 리스트의 특징
cktrace.tistory.com
딕셔너리 자료형
딕서녀리(Dictionary) - Feature 딕셔너리(Dictionary)는 여러 개의 자료를 각각 key와 value로 저장한 자료형입니다. key와 value로 저장했다는 것이 무슨 말인지 지금은 이해되지 않을 수 있지만, 밑에서 여
cktrace.tistory.com
집합 자료형
집합(Set) - Feature 집합은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와 같이 여러 개의 자료를 저장하는 자료형입니다. 그런데 특이하게도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와 달리 자료 간의 순서가 없습니다. 아래와 같이
cktrace.tistory.com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- for문 (0) | 2022.01.12 |
---|---|
[Python] - If 조건문 (반복문) (1) | 2022.01.01 |
[Python] - 집합 자료형 (0) | 2021.12.29 |
[Python] - 딕셔너리 자료형 (0) | 2021.12.29 |
[Python] - 튜플 자료형 (0) | 2021.12.26 |